메타가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이 맞춤형 AI 캐릭터와 챗봇을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인 'AI 스튜디오'를 선보였습니다. 사용자들이 자신이 지정한 테마에 맞춰 AI 챗봇이나 캐릭터 등을 만들고, 이를 인스타그램에서 활용하게 만든 것인데요. 이름, 성격, 목소리 톤, 아바타, 태그라인 등을 맞춤 설정할 수 있으며, 가이드도 제공됩니다. 요리법 제공, 인스타그램 캡션 작성, 밈 생성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친구나 팔로워와 공유하거나 채팅 설정도 가능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하네요. [더보기]
AI, 스마트폰 넘어 웨어러블 기기로 확산 ⌚️
스마트폰을 넘어 스마트링과 스마트워치, 무선 이어폰 등 웨어러블 기기기로도 AI 적용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AI가 결합된 갤럭시 링과 갤럭시워치7의 경우 보다 정밀한 측정을 통해 건강관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데요. 디바이스의 상향 평준화로 인해 전작과 차별화가 어려운 상황에서 삼성전자는 AI 웨어러블을 통해 차별화를 내세우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뿐만아니라 업계는 온디바이스 AI가 혼합현실(XR), TV·가전, 사물인터넷(IoT)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하네요. [더보기]
최근 가장 각광받는 올림픽 플랫폼은 틱톡? 🎶
'틱톡'이 24시간 연중무휴 올림픽 라이브 피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앞서 올림픽 및 패럴림픽 공식 계정에서는 개막식 전부터 다양한 SNS에서 관심을 끌 만한 동영상을 공유했는데요. 주로 어떤 팀이 오랜 라이벌인지, 선수들이 어떤 역경에 직면했는지, 어떤 논란을 겪었는지 등의 서사를 통해 훌륭하게 시청자들의 관심을 사로잡았습니다. 이처럼 틱톡은 개별 선수와 팬들로부터 유기적으로 생성된 보다 이색적이고 틈새적인 서브플롯을 위한 장소가 된 것이죠. 대표적인 콘텐츠는 올림픽 선수촌의 '초콜릿 머핀'과 사랑에 빠진 '머핀 맨'입니다. [더보기]
"130여 국내외 핫플 시선"···디지털 트윈 플랫폼 '미러타운' 출시 🎡
국내 주요 관광지와 명소를 실사 기반 가상 공간으로 제공하는 국내 최대 개방형 디지털 트윈 플랫폼 '미러타운(Mirror Town)'이 출시되었다는 소식입니다. 미러타운은 현실 공간에 기반한 개방형 디지털트윈 서비스로, 예술의 전당, 제주도 우도, 성산일출봉, 강남역, 애니메이션 센터 등 국내 명소뿐 아니라 미국 샌프란시스코 주요 거리 등 총 133개 현실 공간을 서비스에 구현하였는데요. 이를 통해 다양한 명소들에 직접 가지 않고도 현실과 같은 방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국내 유저들은 물론이고 해외 관광객들 또한 미리 국내 명소 및 K팝 아이돌 관련 장소들을 실제처럼 체험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사전에 관광 관련 숙박 등을 예약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