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당 부서 및 참여 부서 : VH PD팀 / 모델링팀 / 애니팀 / 모션캡쳐팀 / 리깅팀 / 매치무브팀)
지난 10일, 자이언트스텝이 참여한 ‘나이비스(nævis)’의 데뷔곡 '던(Done)'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다는 소식입니다. '던(Done)'은 오랫동안 자신을 억압했던 공간과 존재에게서 벗어나 자유를 향한 여정으로 나아가는 나이비스의 첫걸음을 상징하는 곡으로, 신비로우면서도 긴장감 있는 분위기를 자아내는데요. 자이언트스텝이 담당한 '하이퍼리얼 스타일의 나이비스'가 뮤직비디오의 썸네일을 장식하며 대중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
AI 음악 생성 서비스 ‘믹스오디오(MixAudio)’ 개발사 뉴튠(Neutune)이 아티스트를 위한 ‘블록뮤직 AI(Blockmusic AI)’를 출시했습니다. 블록뮤직 AI를 활용하면 사용자가 등록한 음악을 리듬, 악기, 멜로디 등 각 음악 요소별로 분해해 레고 블록처럼 조립할 수 있는 ‘음악 블록’ 형태로 변환할 수 있는데요. 사용자들은 이 블록 음악을 AI를 통해 레고 블록을 조립하듯 교체, 변형, 생성해 다양한 리믹스 버전을 만들어 자신의 콘텐츠에 활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더보기]
시공간을 넘나드는 배달 기사의 이야기, '딜리버리 댄서의 선 : 인버스'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이 2025년 2월 16일까지 'ACC 미래상 2024 김아영-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를 개최하여 미디어 아트 작가 김아영의 신작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를 선보입니다.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는 김아영의 이전 작품 ‘딜리버리 댄서의 구’에서 가상 세계 속 서울을 질주하며 시간 지연 현상과 내비게이션의 미로에 빠졌던 두 주인공이 이번에는 새로운 가상 도시에 놓이게 되는 설정으로, 시간과 공간의 관계, 서로 다른 시간관과 세계관 사이의 충돌과 접점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게임엔진 기반의 컴퓨터 그래픽 영상과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했으며, 가로 길이 11미터의 대형 스크린 3개를 사용하는 3채널 영상 등 1,560㎡ 규모의 복합1관을 가득 채우는 대규모 미디어 및 공간 설치가 돋보이는데요. 각 화면마다 재생되는 영상이 조금씩 달라, 관객이 어디에 자리하느냐에 따라 경험할 수 있는 화면 속 세상이 모두 다르다고 합니다 [더보기]
베일 벗은 ‘스트로베리’…오픈AI, 박사급 능력 갖춘 ‘o1’ 공개 🤓
오픈AI가 새로운 인공지능(AI) 모델 ‘오픈AI o1’을 공개했습니다. 과거 오픈AI가 연구 중이었던 AI 프로젝트 ‘스트로베리(Strawberry)’가 바로 o1으로, 추론 능력이 대폭 향상됐다고 하는데요. 물리학, 화학, 생물학 분야의 벤치마크에서 박사 과정 학생들과 유사한 성과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국제 수학 올림피아드(IMO)에서 GPT-4o는 13%의 점수를 기록한 반면, o1는 83%의 점수를 획득하며 확연한 성능상의 차이를 보였습니다. 오픈AI는 “모델들이 사람처럼 문제를 해결하기 전에 더 많은 시간을 생각하도록 훈련했다”며 “훈련을 통해 사고 과정을 다듬고 다양한 전략을 시도하고 실수를 인식하는 방법을 배운다”고 설명했습니다. [더보기]